목록Algorithm (15)
Joon's Space
문제풀이 이번 문제도 위 '1436번 영화감독 숌' 문제와 같이 브루트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쉽게 풀리는 문제이다. 키와 몸무게가 모두 자신보다 커야 자신보다 덩치가 크다는 조건이 있다. A부터 보았을 때, 다음 표를 보면 이해하기 쉽다. weight height A보다 덩치가 큰가? A 55 185 같은 사람은 넘어감 B 58 183 x (A보다 덩치가 크지않음) C 88 186 o (A보다 덩치가 큼) D 60 175 x E 46 155 x A부터 나머지 전부 비교했을 때, 자신보다 덩치가 큰사람 횟수가 덩치 rank 인 것이다. A보다 덩치가 큰 사람은 B혼자 밖에 없으니 2등인 셈이다. A부터 ~ E까지 모두 나머지를 비교하였을 때, 2중 반복문으로 O(N^2) 의 시간복잡도에 해결 할 수있다. 소..
문제풀이 이 문제에서 해결할 때 사용해야 할 알고리즘은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으로 해결한다.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 이란? 완전탐색 (Brute-Force) 즉 BP라고 도 부르며, 쉽게 말해서 모든 경우의 수를 전부 따져 보는 것이다. 이 알고리즘은 가장 단순하고 간단한 알고리즘이지만, 답을 무조건 찾을 수 있고 정확하다. 입력 값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그래서 단순히 666부터 큰 수 까지 반복한다고 생각했을 때 시간 초과가 발생하였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count_r = 0 for i in range(666, 10000000): temp = str(i) count = 0 for j in ran..

문제풀이 안쪽부터, 갯수를 세어보았을 때, 첫번째 층 1, 두번째 층 2~7, 세번째 층 8~19, 네번째 층 20~37 다섯번째 층 38~61 a(시작점) b(끝점) a증가율 b증가율 2 7 8 19 6 12 20 37 12 18 38 61 18 24 다음을 보면 증가율이 6배수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스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a=2 b=7 count=1 n = int(input()) if n==1: print(1) else: while True: if a=n: break a+=6*count b+=6*(count+1) count+=1 print(count+1) www.acmicpc.net/problem/2292 2292번: 벌집 위의 그림과 같..

문제 APC에 온 것을 환영한다. 만약 여러분이 학교에서 자료구조를 수강했다면 해시 함수에 대해 배웠을 것이다. 해시 함수란 임의의 길이의 입력을 받아서 고정된 길이의 출력을 내보내는 함수로 정의한다. 해시 함수는 무궁무진한 응용 분야를 갖는데, 대표적으로 자료의 저장과 탐색에 쓰인다. 이 문제에서는 여러분이 앞으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해시 함수를 하나 가르쳐주고자 한다. 먼저, 편의상 입력으로 들어오는 문자열에는 영문 소문자(a, b, ..., z)로만 구성되어있다고 가정하자. 영어에는 총 26개의 알파벳이 존재하므로 a에는 1, b에는 2, c에는 3, ..., z에는 26으로 고유한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하나의 문자열을 수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문자열 "abba"..
문제 요세푸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K ≤ N ≤ 1,000) 출력 예제와 같이 요세푸스 순열을 출력한다. 입출력 예시 입력 출력 7 3 문제풀이 1 2 3 4 5 6 7 ..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